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야모란 Asian melastome 야모단(野牡丹). 야모란 Asian melastome 야모단(野牡丹). 짙은 남색과 진보라색이 예쁜 야모란 꽃은 우리나라에는 흔치 않는 열대식물의 꽃입니다.수목원에서 보는 열대 식물들이 우리나라 여름 철에 온실의 문을 활짝 열어 놓았는데 잘 자라며 꽃을 볼수가 있군요. 주로 열대식물을 기르는 온실이나 수목원의 열대식물원에서 볼 수 있는 야모란은 상당히 큰키나무에 피는 꽃입니다.잎에는 3~4개의 세로맥이 움푹 들어간 형태를 띄네요.꽃잎은 5개로 진 남보라색이고 가지 끝에 1개또는 3개정도가 5-7cm 정도크기의 꽃이 피어있네요. 자세히 보면 암술과 수술은 보라색이기는 하지만 연한 색을 띠고 있군요.야모란은 티보치, 노보단, 목노보란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산석류과의 티보치나속의 상록활엽관목입니다. 학술적인 정보는 통.. 더보기 열대식물 알라만다 카타리티카(Allamanda cathartica). 알라만다 카타리티카(Allamanda cathartica). 알라만다. 협죽도과,골든트럼펫,Trumpet, 또는 Yellow Allamanda, Yellow Bell 알라만다 카타르티카(Allamanda cathartica)는 협죽도과의 덩굴성 열대 관목입니다. 원산지는 중미와 남아메리카 혹은 브라질이며 동남아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식물이고요 꽃의 모양과 색깔을 따서 Golden Trumpet나 Yellow Allamanda 혹은 Yellow Bell 등으로 이름이 불리고 있으며 향기도 좋은 대표적인 열대식물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온실에서 불 수 있습니다. 알라만다 카타르티카 학명 :Allamanda cathartica쌍떡잎식물- 협죽도과-Allamanda속-덩굴성 늘푸른떨기나무원산지-브라질-중남미속명 : .. 더보기 파키스타키스 루테아(Pachystachys luttea Ness) 파키스타키스 루테아(Pachystachys luttea Ness),파키스타키스 Pachystachys 황금새우풀,노랑새우풀,막대사탕꽃,황금초 파키스타키스는 그리스어의 Pachys 즉 "크다"라는 뜻과 "stachys"이삭"이라는 뜻의 두개 단어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합성어입니다. 멕시코가 원산지인 새우풀인 Beloperone guttata 가 변종으로 탄생한 것입니다. 또 guttata는 "점무늬 모양" 이라는 뜻이고 yellow queen "노란 여왕"이라는 뜻이랍니다. 학술적으로 식물계-속씨식물군-진정쌍떡잎식물군-국화군-꿀풀목- 쥐꼬리망초과- 파키스타키스속-의 한해살이풀입니다. 학명 Pachystachys luttea Ness ,원산지 중남미,분포지 맥시코,페루 등 중남미,국내에선 온실재매,크기 높이 .. 더보기 부처님 수인(手印). 수인(手印)은 부처님의 덕과 보살 서원을 나타내는 손 모양을 의미합니다. 수인(手印)이라고 하는 불상의 손은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덕을 나타내는 것이며 손가락으로 모양을 만들어 표현을 하는것입니다. 인계(印契), 인상(印相), 밀인(密印), 계인(契印)이며 불교적 중요한 의미를 나타내는것입니다.불상마다 아무렇게 표현되는것이 아닙니다.그렇기 때문에 수인만 보고도 무슨 불상인지를 구분할수가 있는것입니다. 수인은 석가모니부처님의 근본 5인(印)과 아미타 부처님의 구품인(九品印), 비로자나 부처님의 지권인(智拳印)등이 있읍니다. 2017/08/20 - [건축 예술 작품] - 나무로 깍은 거북이 자물쇠2017/08/16 - [역사 문화유적] - 범어사 지장암(梵魚寺地藏菴) 탐방.2016/12/0.. 더보기 나무로 깍은 거북이 자물쇠 나무로 깍은 거북이 자물쇠 자물쇠가 참 멋스럽네요. 투박하게 깍은 거북이 모양 자물쇠입니다. 거북이 배에 자물쇠 걸고리를 달아 놓은 간단한 자물쇠입니다. 참 해학적이기도 하고 멋스럽기도하고 대충 각아 만든 투박함이 더 정겹습니다. 이런게 좋은 예술품으로 느껴집니다. 2014/06/11 - [건축 예술 작품] - 사찰속에 뭍혀있는 우리들의 미술품2013/12/10 - [역사 문화유적] - 고대인이 남긴 메시지2013/12/09 - [역사 문화유적] - 아름다운 가야유물 더보기 왜성 아스타 Aster 왜성아스타, Astar Spp, Aster yomwna 일명 가새쑥부쟁,또는 일명 왜쑥부쟁이라고 하는 왜성아스타입니다.왜성 아스타 Aster yomwna 는 키가 작은 쑥부쟁이라는 뜻입니다. 이꽃이 왜소한 쑥부쟁이라는 뜻으로 왜성아스타가 된 것입니다. 학명이 Astar Spp 인데요 국화과에 속하는 쑥부쟁이의 일종으로서 다년생 초본입니다.자주색으로 늦여름부터 가을까지 피는데 꽃이 예쁘고 청초해서 관상용으로 가꾸고 있습니다. 한국,일본,중국,대만에 분포하네요. 2017/08/19 - [꽃 접사 정밀] - 물싸리 꽃-금로매화(金老梅花)2017/08/18 - [꽃 접사 정밀] - 개비리길의 백년초 농장2017/08/18 - [꽃 접사 정밀] - 서양톱풀,톱풀파스텔 Achillea, Yarrow,2017/08/.. 더보기 무송(霧松) 산 구름이 막 떠나려고 합니다. 안개속에 가려진 노송이 자태를 드러 내려 합니다. 곧 밝은 모습을 완전히 드러 내겠지만 자태를 아직 제대로 다 보이기 직전에 더 아름다운것이 아니겠습니까. 더보기 고성(固性)의 옛터에서 그때를 상상(想像)한다. 금정산성 제 1망루에서. 한여름 산행하다가 고성의 옛터를 바라본다.오래전에 여기가 부산을 방어하는데 중요한 지역일때 어느 병사가 장창을 들고 저 아래를 보며 망을 보던곳이다.이런 망루가 금정산성에는 4개가 있는데 이곳이 제1망루터다. 망루는 어디로 날아가고 성벽만이 그때를 상상하게 하지만 차라리 이대로가 좋다. 그 오랜세월이 지난 지금 망루를 온전히 복원해서 깨긋한 건물이 서 있는것 보다는 성벽만 남아있는 이대로가 훨신 역사성이 돋보이고 스토리가 엮여지기 때문이다. 이곳을 보면서 전국적으로 역사유물을 복원하여 새 건물들을 세워 놓는데 여기처럼 적당히 허물어진대로 두는것도 복원 만큼이나 중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참고로 이 망루는 대한민국 사상 최강 최악의 태풍으로 기록되고있는 1959년 9월 12일 오전 .. 더보기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77 다음